제 1 장에서는 논문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범위, 선행 연구 검토 그리고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유형 그리고 간접 화행 같은 이론적 배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형태-통사적 특성 및 화용적 의미에 대해 비교하였으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 사용양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가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제안 기능’ 및 ‘명령 기능’의 오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정리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제 3,4 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해 부정 의문문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연구문제를 지적하였다
Readership Map
Content Distribution
제 1 장에서는 논문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범위, 선행 연구 검토 그리고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유형 그리고 간접 화행 같은 이론적 배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형태-통사적 특성 및 화용적 의미에 대해 비교하였으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 사용양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가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제안 기능’ 및 ‘명령 기능’의 오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정리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제 3,4 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해 부정 의문문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연구문제를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