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Nguyễn, Thị Hải Giang | - |
dc.contributor.author | Ngô, Phương Anh | - |
dc.date.accessioned | 2022-11-07T07:48:02Z | - |
dc.date.available | 2022-11-07T07:48:02Z | - |
dc.date.issued | 202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vnu.edu.vn/handle/VNU_123/143531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은 중국 한자 문화권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베트남어 한자어의 비율도 높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어는 대부분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흘러 언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 일부 어휘는 의미론적으로 변경되어 새로운 뉘앙스로 쓰이며, 심지어 원래 의미와 완전히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통역이나 번역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False Friends 로 인한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겠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제 1 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을 진행하는 필요성과 목적을 밝힌 다음에 이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해 보아 연구 현황을 파악하여 제시한다. 제 2 장에는 각 연구자의 관점을 참조하여 정리함으로써 다양한 False Friends 정의에 대한 견해들 중의 공통점을 찾아내며 이 개념을 밝힌다. 그리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 에 관한 사례를 들며 이의 유형을 어떻게 분류하는지 제시한다. 다음으로 제 3 장은 본 연구에 어떤 방법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 대상, 연구 자료와 연구 절차 등을 포함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 단어가 담긴 실험을 설정하며 설문조사 양식으로 하노이국립외대 재학생에게 접근한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공학생은 53 명이다. 그리고 제 4 장에는 실험 각각 문항의 오류 문장 및 수정 문장을 제시하며 피실험자의 베×한 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오류를 통계내어 등장빈도를 계산하고자 한다. 모든 문항에 오역을 찾아내였는데 오류율은 약 16%에서 79%까지로 나타난 것은 실험 결과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전공과정의 한×베 통번역에 대한 과목에서 False Friends 에 관련 수업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제 5 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모든 내용에 대한 총괄적 결말을 내린다. 독자가 논문의 개괄을 잡아보기 위해 이상에 제시한 모든 내용들을 필자가 종합하여 간략하게 요약하고자 한다. 필자가 논문을 완성하도록 심혈을 기울여서 최선을 다하는데도 불구하고 연구 능력과 전문 지식에 한계가 있어서 불가피하게 연구 내용의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현재 교우들이 한국어의 한자어 학습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보겠다. | vi |
dc.format.extent | 47 p. | vi |
dc.language.iso | ko | vi |
dc.subject | Tiếng Hàn, Tiếng Việt | vi |
dc.subject | Văn bản dịch, False friends | vi |
dc.title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에 대한 연구 = Phân tích hiện tượng false friends trong văn bản dịch Việt – Hàn của người Việt Nam học tiếng Hàn | vi |
dc.type | Final Year Project (FYP) | vi |
dc.contributor.school | ĐHQGHN -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 vi |
Appears in Collections: | ULIS - Student Reports (FYP/ESSAY) |
Readership Map
Content Distribution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Nguyễn, Thị Hải Giang | - |
dc.contributor.author | Ngô, Phương Anh | - |
dc.date.accessioned | 2022-11-07T07:48:02Z | - |
dc.date.available | 2022-11-07T07:48:02Z | - |
dc.date.issued | 202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vnu.edu.vn/handle/VNU_123/143531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은 중국 한자 문화권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베트남어 한자어의 비율도 높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어는 대부분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흘러 언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 일부 어휘는 의미론적으로 변경되어 새로운 뉘앙스로 쓰이며, 심지어 원래 의미와 완전히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통역이나 번역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False Friends 로 인한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겠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제 1 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을 진행하는 필요성과 목적을 밝힌 다음에 이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해 보아 연구 현황을 파악하여 제시한다. 제 2 장에는 각 연구자의 관점을 참조하여 정리함으로써 다양한 False Friends 정의에 대한 견해들 중의 공통점을 찾아내며 이 개념을 밝힌다. 그리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 에 관한 사례를 들며 이의 유형을 어떻게 분류하는지 제시한다. 다음으로 제 3 장은 본 연구에 어떤 방법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 대상, 연구 자료와 연구 절차 등을 포함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 단어가 담긴 실험을 설정하며 설문조사 양식으로 하노이국립외대 재학생에게 접근한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공학생은 53 명이다. 그리고 제 4 장에는 실험 각각 문항의 오류 문장 및 수정 문장을 제시하며 피실험자의 베×한 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오류를 통계내어 등장빈도를 계산하고자 한다. 모든 문항에 오역을 찾아내였는데 오류율은 약 16%에서 79%까지로 나타난 것은 실험 결과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전공과정의 한×베 통번역에 대한 과목에서 False Friends 에 관련 수업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제 5 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모든 내용에 대한 총괄적 결말을 내린다. 독자가 논문의 개괄을 잡아보기 위해 이상에 제시한 모든 내용들을 필자가 종합하여 간략하게 요약하고자 한다. 필자가 논문을 완성하도록 심혈을 기울여서 최선을 다하는데도 불구하고 연구 능력과 전문 지식에 한계가 있어서 불가피하게 연구 내용의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현재 교우들이 한국어의 한자어 학습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보겠다. | vi |
dc.format.extent | 47 p. | vi |
dc.language.iso | ko | vi |
dc.subject | Tiếng Hàn, Tiếng Việt | vi |
dc.subject | Văn bản dịch, False friends | vi |
dc.title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에 대한 연구 = Phân tích hiện tượng false friends trong văn bản dịch Việt – Hàn của người Việt Nam học tiếng Hàn | vi |
dc.type | Final Year Project (FYP) | vi |
dc.contributor.school | ĐHQGHN -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 vi |
Appears in Collections: | ULIS - Student Reports (FYP/ESS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