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여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특정 언어권에 한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에 언어권별 발음 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여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서 한국어 음운 변동 현상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의 발음 특성을 파악하여 음운 현상 오류의 교정 및 방지를 위한 교안 혹은 교육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하노이 국립 외국어 대학교의 베트남어권 대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음운 현상 발음 규칙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제 1 부 (서론)에서는 발음 교육 또는 한국어 음운 현상에 대한 발음 교육의 중요성과 여태까지 이루어진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제 2 부 (본론)에서는 연구 내용을 3 장으로 구분하여 다루고 각장의 내용을 간략하게 제시하도록 하겠다. 먼저, 제 1 장에서는 한국어 음운 체계 및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다음으로, 2 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을 밝혔다. 그리고 제 3 장에서는 세분화된 하위 발음 규칙에 따라 조사 자료를 구성해서 초급, 중급, 고급의 수준별 15 명씩 총 45 명의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베트남어권 학습자가 발화에서 한국어 음운 현상에 관한 발음 정답율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베트남어권 학습자가 실제 발화에서 비음화-유음화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수준과 한국어 음운 현상의 발음 실현율이 비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음운 현상에 대한 발음 교육이 초급부터 시작해 고급까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가 된다. 학습자가 단어의 의미와 함께 그 단어의 발음에 적용되는 발음 규칙도 알고 있더라도 제대로 발화하기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발음 규칙 교육 시 연습을 더 중요시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베트남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음운 변동 현상 발음을 할 때 실수하는 원인도 분석한다. 그 기저에는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 자체의 복잡성과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어권 학습자의발음 특성 주로 두 가지의 원인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오류의 극복 방법 혹은 교육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제 3 부 (결론)에서, 제 2 부에서 언급한 모든 사항을 요약했으며, 본 논문에서 존재하는 한계점을 판단하고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문제를 살펴본 것은 향후 이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교육 시 오류를 교정 및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베트남어권 학습자, 한국어 음운 변동 현상, 발음 오류, 한국어 발음 교육, 발음 오류 조사, 오류 분석, 오류 원인.
Readership Map
Content Distribu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여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특정 언어권에 한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에 언어권별 발음 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여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서 한국어 음운 변동 현상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의 발음 특성을 파악하여 음운 현상 오류의 교정 및 방지를 위한 교안 혹은 교육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하노이 국립 외국어 대학교의 베트남어권 대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음운 현상 발음 규칙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제 1 부 (서론)에서는 발음 교육 또는 한국어 음운 현상에 대한 발음 교육의 중요성과 여태까지 이루어진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제 2 부 (본론)에서는 연구 내용을 3 장으로 구분하여 다루고 각장의 내용을 간략하게 제시하도록 하겠다. 먼저, 제 1 장에서는 한국어 음운 체계 및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다음으로, 2 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을 밝혔다. 그리고 제 3 장에서는 세분화된 하위 발음 규칙에 따라 조사 자료를 구성해서 초급, 중급, 고급의 수준별 15 명씩 총 45 명의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베트남어권 학습자가 발화에서 한국어 음운 현상에 관한 발음 정답율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베트남어권 학습자가 실제 발화에서 비음화-유음화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수준과 한국어 음운 현상의 발음 실현율이 비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음운 현상에 대한 발음 교육이 초급부터 시작해 고급까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가 된다. 학습자가 단어의 의미와 함께 그 단어의 발음에 적용되는 발음 규칙도 알고 있더라도 제대로 발화하기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발음 규칙 교육 시 연습을 더 중요시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베트남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음운 변동 현상 발음을 할 때 실수하는 원인도 분석한다. 그 기저에는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 자체의 복잡성과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어권 학습자의발음 특성 주로 두 가지의 원인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오류의 극복 방법 혹은 교육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제 3 부 (결론)에서, 제 2 부에서 언급한 모든 사항을 요약했으며, 본 논문에서 존재하는 한계점을 판단하고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문제를 살펴본 것은 향후 이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교육 시 오류를 교정 및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베트남어권 학습자, 한국어 음운 변동 현상, 발음 오류, 한국어 발음 교육, 발음 오류 조사, 오류 분석, 오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