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hrabian(1971)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의사소통에서 말이 차지하는 비중은 7%, 목소리(음조, 억양, 크기)등이 37%, 비언어적인 태도가 55%에 달한다고 하였다. 학자들이 지적한 것처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는 대화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의사소통 행위이다. 또한,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 관계는 날이 갈 수록 더욱더 긴밀해져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를 교육하는 과정은 언어를 가르쳐 주는 것 외에 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이 함께 진행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인의 독특한 비언어적 행위를 제시하고 이러한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보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비언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논문에서 제시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eadership Map
Content Distribution
Mehrabian(1971)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의사소통에서 말이 차지하는 비중은 7%, 목소리(음조, 억양, 크기)등이 37%, 비언어적인 태도가 55%에 달한다고 하였다. 학자들이 지적한 것처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는 대화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의사소통 행위이다. 또한,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 관계는 날이 갈 수록 더욱더 긴밀해져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를 교육하는 과정은 언어를 가르쳐 주는 것 외에 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이 함께 진행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인의 독특한 비언어적 행위를 제시하고 이러한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보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비언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논문에서 제시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